반응형

UXR 5

당신이 리서치를 아무리 해도 효과가 없는 이유

많은 리서처 분들이 리서치를 수행하고 결과가 반영되지 않지 않아 고민이라고 말합니다. 몇 시간이고 고객을 만나 인터뷰하고 사용성 테스트를 하고 데이터를 정리했고 보고서도 완벽히 썼는데 말이죠. 리서치를 잘 수행하는 것도 좋지만 결국 반영이 잘 되어 성과가 보여야 좋은 리서치를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. 의외로 많은 리서치 조직에서 리서치 수행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이후 인사이트 적용 및 실행은 제품팀에 맡기곤 '이제 잘 반영되겠지'라며 신경을 끕니다. 실제 한 상황을 가정해 봅시다한 쇼핑몰에서 상품 리스트 페이지의 상품 클릭률이 계속 낮아지고 있었습니다. 리서치팀은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했고, 고객 인터뷰를 통해 이런 문제를 확인했습니다.“상품이 너무 작아서 잘 안 보인다.”“정보가 너무 많아 시선이 분산된..

UX 리서치 조직은 어떤 형태가 좋을까요?

리서치 팀은 기능 조직(functional organization) 형태로 일하는 경우가 많지만 아래와 같은 형태들로 다양하게 존재합니다.1️⃣ 중앙 집중형(Centralized)- UXR가 한 팀으로 묶여 PM·DEV와 떨어져 있음- 전문성 유지에는 유리하지만, 제품 현장과 단절되기 쉬움- 종종 “에이전시”처럼 단기 투입 후 빠지는 구조가 됨2️⃣ 스쿼드형(Decentralized) - UXR이 각 제품팀에 소속- 제품 맥락 이해는 빠르지만, UXR 리더십·커뮤니티가 약화되고 팀 간 일관성이 깨짐3️⃣ 매트릭스형(Matrix) - UXR이 PM과 UXR 매니저 양쪽에 보고하는 구조- 협업은 밀착되지만, 우선순위 충돌과 ‘누구 말을 들어야 하나’ 혼란 발생실제로는 PM 권한이 더 커져 UXR이 소극적으로..

고객 인터뷰를 하면서 "이 사람은 적절한 대상자가 아닌데…" 생각한 적 있나요?

NN/g 아티클에서는 ‘리크루팅을 위한 스크리너 만들기’에 도움이 되는 간단한 방법을 제안합니다.그건 바로,✔️ Foil(가짜지만 그럴듯한 보기) 넣기 입니다.예를 들어,“사용해본 음식 배달 앱을 모두 고르세요.” 라는 질문의 보기로 로 설정해두는거죠. 푸드익스프레스 같은 실제로는 없는 선택지를 고른 사람은 적절한 대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.💡PiXR Talk- 리서치 품질은 분석 단계 뿐 아니라 리크루팅 단계에서도 결정됩니다.- 좋은 리서치는 좋은 참가자를 고르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해당 글은 다음 아티클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🙂 https://www.nngroup.com/articles/screener-foils/

UX리서처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요?

*2023년에 작성된 글입니다종종 UX리서처라는 직무을 원하는 학생분들이나, 직무 전환을 하고자 하는 다른 직군의 분들로부터 이런 질문을 받습니다."UX리서처는 어떤 역량을 가져야 하나요?"물론 정석적인 답변은 이럴 수 있습니다.닐슨 노먼 그룹(NNg)에서 조사한 UX커리어 리포트에 따르면, "소프트 스킬 중 가장 필요한 것은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공감 능력으로 조사 되었습니다. 하드 스킬은 직무에 따라 필요한 정도가 다르겠지만 UX리서처의 경우 리서치 methodology와 mothods는 시간이 지나면 충분히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커뮤니케이션과 공감 능력은 쉽게 성장시킬 수 없기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우선됩니다."물론 제 개인의 의견이긴 합니다만, 실제로 일반적이고 많은 경우에 적용될 수..

UX 리서치 각 단계별로 AI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?

1️⃣ 리서치 준비 / 시작 지점 (Starting Point)활용: 주제 선정, 시작 아이디어 탐색, 리서치 프레임 잡기활용 예시:“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” → 시작점 추천받기“이렇게 시작해도 될까?” → 대안 경로 제시받기주의: AI가 제시하는 방향이 맥락에 맞지 않을 수 있음 → 동료와 검토 필요 2️⃣ 데스크 리서치 (Desk Research)활용: 관련 논문, 블로그, 기존 연구 요약 및 비교활용 예시:특정 주제 관련 문헌 찾기 및 요약가설/질문에 부합하는 선행연구 정리주의:존재하지 않는 문서를 생성하거나 잘못된 논문 추천 가능 (환각 현상),반복 사용 시 리서처의 독립적 사고 저하 3️⃣ 리서치 기획 (Research Planning)활용: 리서치 목표, 방법론 설계, 문항 브레인..

반응형